02-979-3501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3가길 94 (가온빌딩 3층)
9월 유럽 중앙에 위치한 국가,;체코; “ 세계적인 작곡가 드보르작은 체코사람이래요! " 체코 대표인물 ;드보르작; 체코 대표음식 ;;스비치코바;;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자 다문화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025년에도 대륙별로 다양한 나라를 소개하고 퀴즈를 통해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번 달은 유럽에 속해있는 나라, ‘체코’입니다. ▣ 언어와 수도 “체코”의 정식명칭은 ‘체코 공화국’으로 체코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체코의 수도인 ‘프라하’의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는데요, 이 외에도 체스키크롬로프, 텔치 등 많은 도시와 건축들이 등록되어 있어 가장 붐비는 문화 관광 도시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 체코의 인물 ‘안토닌 드보르작’ ‘안토닌 드보르작’은 체코 민속 선율과 춤곡 리듬을 교향곡과 실내악에 녹여낸 민족주의 음악의 거장으로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와 함께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의 거장 중 한사람으로 체코 음악을 세계무대에 알린 대표 작곡가입니다. 특히, 드보르작이 미국 체류 시 아메리카 원주민과 흑인 영가 선율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한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는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교항곡 중 하나로 지금까지도 자주 연주되는 곡이라고 합니다. ▣ 음식 체코는 맥주 소비 세계 1위의 나라 답게 맥주와 함께 곁들여 먹는 전통적인 음식 문화가 발달했는데요, 체코의 대표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스비치코바(Sví?ková na smetan?) ‘스비치코바’는 체코 가정식의 상징으로 특별한 날에 자주 먹는다고 하는데요, 소고기 안심을 당근·샐러리·파슬리 뿌리 등과 함께 조린 뒤 부드러운 채소 소스를 곁들인 요리로 크네들리키(빵 만두), 휘핑크림을 곁들인 음식이라고 합니다. ☞ 트델니크(Trdelník) ‘트델니크’는 반죽을 막대에 감아 구운 뒤 설탕과 계피, 견과류를 묻혀 먹는 달콤한 빵 디저트로 프라하 거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인기 간식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체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셨나요? 오늘 배운 체코에 대한 퀴즈도 있으니 같이 풀면 더욱 기억에 남을 수 있겠죠? ▶ 퀴즈 ◀ 체코는 어느 대륙에 위치해있나요? 체코의 공식 명칭은 무엇인가요? 체코의 수도 이름은 무엇인가요? 세계적인 작곡가인 ‘안토닌 드보르작’이 작곡한 교향곡 제9번의 제목은? 체코 가정식으로 소고기 안심을 야채들과 조린 음식의 이름은? *출처 : 위키백과, 나무위키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3팀 유해리 ( 070-4613-0637)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10-019월 고향친구들과 함께해서 더욱 즐거운 시간, 다문화가족자조모임;늘솜BAN; “ 고향 친구를 만나서 음식도 만들고 일상생활의 즐거움과 슬픔을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아요. " 돼지갈비찜 및 버섯볶음 상계5동 경로당 기부 베트남 음식 ;분까; 만들기 활동 2025년 4월~ 11월 (매주 월) 10:00-12:00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4월부터 11월까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2명이 함께하는 다문화가족 자조모임 ‘늘솜BAN’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임은 매월 2~4회 진행되며, 요리·기부·문화체험·영상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나누고 지역사회와 교류하는 시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요리 활동은 참여자들에게 큰 의미가 있었는데요, 한국과 베트남 음식을 직접 만들며 즐겁게 대화하고 웃음을 나누었고, 정성껏 준비한 음식은 지역 경로당에 기부하여 어르신들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이러한 기부활동은 단순한 나눔을 넘어 지역사회와 연결되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모임원들은 다문화가족으로서 한국 사회에 기여한다는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베트남 음식을 주제로 한 활동을 영상으로 제작해 SNS에 공유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베트남 문화를 알리고,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는 뜻깊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진행된 다양한 문화체험 활동은 한국 문화를 직접 배우고 경험하는 기회가 되었고,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생활 속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서로 간의 유대감을 더욱 돈독히 할 수 있었습니다. 자조모임에 참여한 이OO씨는 “타지에서 다른 언어로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지만, 자조모임을 통해 고향 친구들을 만나 모국어로 대화할 수 있어 너무 좋았습니다. 고향 친구들과 속마음도 나누고 자녀 양육 정보를 얻으며 요리도 함께할 수 있어 즐겁고 소중한 시간이 되고 있습니다.”라는 긍정적인 소감을 남겼습니다. 앞으로도 노원구가족센터는 다문화가족이 한국 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3팀 이지현( 070-4613-0642)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10-019월 취약·위기가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대상자 맞춤형 서비스;사례관리; " 가족센터가 있어서 한국이라는 나라에 고마움을 느낍니다. " 후원품 전달 사례관리 네트워크 회의 참석 2025년 1월~12월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1월부터 12월까지 복합적인 어려움과 욕구를 가진 취약·위기 가족을 대상으로 사례관리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례관리사업은 가족관계, 경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 언어, 교육, 법률 등 일상생활을 하며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관리사와 대상 가족이 함께 소통하며 욕구를 파악하고 자원 연계 및 정서 지지를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립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입니다. 1월부터 9월 현재까지 사례발굴 및 신청 가정 총 21가족에게 사례관리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있으며, 지역사회 사례회의를 총 22회 참석하여 정보공유 및 자원 연계를 도모하는 등 취약·위기 가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였습니다. 사례관리사업에 참여한 쩐OOO씨는 ‘가족센터를 만나기 전에는 매일이 두려웠습니다. 그렇지만 가족센터를 만나고 나서부터는 마음이 편해졌고, 아이들도 많이 밝아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혼자가 아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저희 가족이 행복을 다시 찾을 수 있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라는 소감을 나타냈으며, 진OO님은 ‘병원을 알려주신 덕분에 요즘 잘 지내고 있어요. 불면증도 많이 사라져서 행복해요. 감사합니다.’라는 감사 인사를 남기는 등 사례관리 사업이 취약·위기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통한 라포형성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노원구가족센터는 앞으로도 취약·위기 가족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통해 행복한 가족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1팀 김진주 (070-4613-0624)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