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979-3501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3가길 94 (가온빌딩 3층)
6월 남아메리카 동북부에 있는 공화국,;수리남; “ 수리남의 수도인 파라마리보에는 전체 인구의 3분의 2가 살고 있대요! " 수리남 대표음식 ;폼; 수리남 대표 인물 ;안토니 네스티;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자 다문화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025년에도 대륙별로 다양한 나라를 소개하고 퀴즈를 통해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번 달은 남아메리카에 속해있는 나라,‘수리남’입니다. ▣ 언어와 수도 "수리남"은 남아메리카 북부에 있는 나라로 네덜란드의 지배와 영향으로 공용어를 네덜란드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도는 "파라마리보"입니다. 특히, 수도인 "파라마리보"라는 이름은 ;큰 강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수리남 인구 중 3분의 2가 수도와 그 주변에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 수리남의 인물;안토니 네스티; 수리남의 대표 인물 중 한 명인 ;안토니 네스티; 선수는 흑인 최초로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인데요, 1988년 서울올림픽 남자 접영 100미터 수영 종목에 출전하여 흑인 선수 최초이자 수리남의 올림픽 첫 금메달을 준 선수입니다. 특히 당시 수리남은 인구가 39만 명에 불과했으며, 수영뿐만 아니라 스포츠 불모지로 지금까지도 네스티는 수리남에서 유일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 음식 수리남은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리카, 인도, 중국 등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어루러진 나라로 유명한데요, 수리남의 대표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폼 ;폼;은 특별한 행사나 축하 행사에서 종종 제공되는 전통적인 수리남 요리로 타녀(Tater) 뿌리를 갈아낸 후 닭고기와 양파, 토마토, 오렌지주스 등 재료를 섞어 오븐에 구운 요리로 ;폼;은 달콤하고 톡 쏘는 맛이 나며 쫄깃한 식감이라고 합니다. ☞ 사오토 스프 수리남 치킨 스프로도 알려진 ;사오토 스프;는 수리남의 전통 음식으로 닭육수와 삶은 닭, 콩나물과 볶음면으로 만들었는데요, 진한 국물에 양파튀김, 삶은 계란, 감자스틱 등 다양한 양념을 얹은 요리로 빵과 함께 먹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수리남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셨나요? 오늘 배운 수리남에 대한 퀴즈도 있으니 같이 풀면 더욱 기억에 남을 수 있겠죠? ▶ 퀴즈 ◀ 1. 수리남은 어느 대륙에 위치해 있나요? 2. 수리남의 수도 이름은 무엇일까요? 3. 수리남의 공용어는 어떤 언어인가요? 4. 흑인 최초로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의 이름은? 5. 달콤하고 톡 쏘는 맛이 나며 쫄깃한 식감이 나는 전통적인 수리남 요리 이름은? *출처 : 위키백과, 나무위키, 지식백과, 티스토리 ;moneyhouse23;, 네이버블로그 ;valvaragi;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3팀 유해리 ( 070-4613-0637)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07-046월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교육과 체험으로 배우는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 " 다양한 체험을 통해 다른 나라 문화를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1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2 2025년 6월 13일 (금요일) 12:30~13:30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문화의 다양성을 알리고 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고자 불암초등학교와 연계하여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은 다문화이해교육 강사과정을 수료한 결혼이민자가 직접 학교로 찾아가 모국의 지리, 역사, 문화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전통의상, 악기와 놀잇감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본 교육은 불암초등학교 5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베트남 문화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베트남의 면적, 인구, 종교, 국기의 유래, 베트남 전쟁 등 지리와 역사적 배경을 배우는 것을 시작으로 쌈을 싸 먹는 식문화와 낮잠 시간이 있는 특별한 문화에 대해 알아보며 문화적 차이와 공통점에 대한 정보 습득과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베트남 전통모자와 의상인 ;논라;와 ;아오자이;를 직접 입어보고 전통악기인 ;송란;, ;쫓;을 체험해보며 베트남의 문화를 온몸으로 느껴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교사는 "선생님이 오셔서 수업을 해주시니 하루 종일 하고 싶을 정도록 재밌었다.",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었고, 베트남 문화를 직접 체험하여 좋았습니다.", "베트남 사람이지만 한국에 온 지 오래돼서 기억이 가물가물했던 전통 놀이를 다시 기억하게 되어서 좋았고, 의상도 입어볼 수 있어서 좋은 추억이 되었습니다.", "다문화가 차별받지 않으면 좋겠다." 등의 소감을 나타내 모국의 강사가 직접 찾아가 나라에 대한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전통악기와 의상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배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지역사회통합프로그램 외에도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이 다양한 문화를 주제로 교류·소통할 수 있는 문화교육, 문화나눔, 문화인식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노원구가족센터는 앞으로도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이 함께 성장하고 웃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2팀 김이슬 (070-979-3502)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07-046월 결혼이민자정착단계별지원패키지 ;초등 학부모 교육; “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막막했었는데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 생활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부모-자녀 프로그램 현직교사가 알려주는 초등학교 생활 2025년 6월 14일~6월 28일 (매주 토요일) 10:00~12:00 노원구 가족센터에서는 결혼이민자의 부모역량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미취학,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초등 학부모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1-2회기에서는 전문 강사님과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모시고 학부모의 역할과 초등학교 입학 전 키워줘야 할 기본생활습관, 학교 학사일정, 알리미 앱 활용방법 등 학교 생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특히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부터 확대 적용됨에 따라 초등 1~4학년에서 달라진 점과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3회기에서는 키트활동을 진행하여 부모-자녀간의 유대관계를 높임과 더불어 대집단 활동을 통해 학교생활을 준비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부모-자녀 간 눈맞춤을 통한 상호작용이 이뤄졌으며, 자녀들은 정해진 시간 내에 활동을 스스로 완성하고 내가 사용한 물건을 정리하는 연습을 하며 학교생활에 꼭 필요한 기본생활습관을 기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그동안 몰랐던 것들을 알게 되었고, 초등학교 입학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통해 자녀의 학교 적응을 어떻게 도와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교육을 듣기 전에는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 준비에 대해 막막하게 느꼈는데 교육을 듣고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등 자녀의 초등학교 생활 준비에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소감을 나타냈습니다. 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앞으로도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들이 원활하게 한국에 정착하고 스스로 자립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신청 및 문의] 가족사업2팀 박소연( 070-4613-0633) 아이돌봄서비스 02-979-3501(ARS 1번) 다문화가족사업 02-979-3501(ARS 2번) 개인 및 가족상담 02-979-3501(ARS 3번) 기타사업안내 02-979-3501 (ARS 4번) 센터운영 02-979-3501 (ARS 5번) 공동육아나눔터 02-6401-350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가온빌딩 3층) Copyright ⓒ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ll rights reserved.
2025-07-04